뉴스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뉴스몬

메뉴 리스트

  • HOME
  • ADMIN
  • 뉴스몬 (2745)
    • 시사 (922)
    • 연예 (1290)
    • 스포츠 (54)
    • 과학기술 (45)
    • 자동차 (16)
    • 역사&문화 (143)
      • Talk to History (62)
      • Meet with Cutlure (47)
      • All over the World (34)
    • Delicious Love (38)
    • 여행 (5)
    • 리뷰&광고 (212)

검색 레이어

뉴스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역사&문화

  • 세상에서 가장 창조적인 건축물 BEST 5

    2020.02.27 by 편집국장

  • 2m의 초대형 개복치 화제…어떤 생물일까?

    2020.01.28 by 편집국장

  • 레바논, 천국과 지옥의 혼재

    2020.01.28 by 편집국장

  • 부탄 국왕 등, 전 세계의 어린 지도자 Top10

    2020.01.28 by 편집국장

  • 몰래 채취한 18세 소녀의 침(타액)을 팝니다?

    2020.01.28 by 편집국장

  • 외국인이 본 한국의 어색한 집단의식과 술문화

    2020.01.28 by 편집국장

  • 130년 전의 옛날 이모티콘을 공개합니다

    2020.01.28 by 편집국장

  • 영화 '왕의 남자'가 성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020.01.28 by 편집국장

세상에서 가장 창조적인 건축물 BEST 5

우리나라에도 수 많은 건물들이 있지만, 랜드마크를 확실히 하고 있는 건축물은 아직 없습니다. 나름대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성냥갑 같은 건물들이 대다수이죠. 정말 신기하게 생긴 창조적인 건축물들을 소개합니다. 먼저 미국 미주리주의 캔자스 시립 도서관입니다. 도서관 옆 주차장 입구에는 세상에서 가장 큰 책들이 나란히 서있습니다. 더 멋진 사실은 이를 캔자스 시민 모두가 함께 만들었다는 겁니다. 캔자스 시청이 시민들을 상대로 가장 좋아하는 책을 설문조사 한 후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도서를 뽑아 건물 앞에 나열했으니 모두가 함께 만들었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비슷한 컨셉의 도서관입니다. 영국의 웨일스에 있다고 하네요. 다음으로 미국의 '롱거버거 빌딩'입니다. 이 건축물은 손잡이가 달린 커다란 바스..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2. 27. 19:33

2m의 초대형 개복치 화제…어떤 생물일까?

아일랜드에서 두 어부가 사람보다 더 큰 개복치를 잡아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28일 아일랜드의 뉴스 아이리쉬타임스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북부 얼스터주(州)의 더니골 카운티에 사는 두 어부가 인근 바다에서 1.5~1.8m 가량의 개복치를 낚았다고 보도했습니다. 개복치는 복어목 개복치과의 바닷물고기로, 몸길이가 약 4m, 몸무게가 약 140kg까지 자란다고 합니다. 몸은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통을 좌우에서 눌러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서 뒤쪽을 잘라낸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이 초대형 개복치를 잡은 어부들은 조업을 하는 14년 동안 수많은 개복치를 봤지만 이처럼 큰 것은 처음이라며 물고기가 아니라 짐승 같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두 어부 유리 페트로브와 마크 레이널드는 ..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1. 28. 01:18

레바논, 천국과 지옥의 혼재

수도 베이루트(Beirut) 중동의 파리라는 별명을 가진 이 도시는 프랑스 파리와 자매결연이 되어있다. 레바논의 수도이며 가장 큰 도시. 인구는 150만 안팎이다. 서울특별시의 한개 구 정도의 면적에 두개구 이상의 인구를 합쳐놓은 사람들이 사는지라 인구밀도는 매우 높다. *베이루트 시내전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루트는 두 개의 도시가 하나로 합쳐진 것으로 봐도 무방할 만큼 동베이루트와 남베이루트가 천지차이를 이룬다. 동베이루트는 레바논 인구의 41%를 차지하는 카톨릭 기독교도 마로니테스(Maronites) 의 거주지역이다. 동베이루트의 전경은 그야말로 파리를 중동으로 옮겨온 것과 다를바 없다. 전쟁 전에는 지중해에서 최고의 휴양도시중 하나였던 베이루트. 동베이루트에 한해 아직 그 말이 유효하다. 고급승용..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1. 28. 01:18

부탄 국왕 등, 전 세계의 어린 지도자 Top10

부탄의 국왕은 만 29살로 전세계에서 가장 `어린 왕`입니다. 1위에 오른 부탄의 지그메 케사르 왕추크 국왕은 1980년생. 2006년 아버지로부터 왕좌를 물려받아 5대 왕에 올랐습니다. 부탄은 지난 3월 첫 총선을 거쳐 국회를 꾸리고 민주주의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국가 지도자로 왕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도미니카공화국의 루스벨트 스커릿 총리는 37살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교육 장관으로 일하다 2004년 전임 총리가 심장마비로 숨져 후임으로 뽑혔다고 합니다. 3위에 오른 38살의 조셉 카빌라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도 전임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직위를 물려받은 경우인데요. 2001년 아버지인 로랑 카빌라 대통령이 경호원 손에 피살되면서 대통령직을 승계했습니다. 39살의 마케도니아의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총리는..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1. 28. 01:18

몰래 채취한 18세 소녀의 침(타액)을 팝니다?

최근 중국의 한 쇼핑몰 사이트에 ‘18세 소녀의 침(타액)’을 판다는 엽기 광고가 등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중국 최대 쇼핑몰 사이트인 ‘타오바오왕’에 등장한 이 광고에는 소녀의 사진과 함께 ‘18세 소녀의 침이 담긴 병 하나 당 20위안’이라는 글이 적혀있다. 쇼핑몰에 침을 올린 저우(周)씨는 ‘예로부터 소녀의 침은 강장제로 여겼다. 소녀가 잠을 자는 사이에 몰래 채취한 것’이라는 친절한 설명까지 곁들여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그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상품을 올리자마자 네티즌 수 만 명이 클릭했다.”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 상품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주장했다.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1. 28. 01:17

외국인이 본 한국의 어색한 집단의식과 술문화

한국에 온 지 벌써 1년 반이 되었다. 그동안 학교답사를 통해 한국의 이곳저곳을 가봤고 많은 것도 직접 체험하였기에 어느 정도 한국생활과 한국문화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 가운데 내게 어색하게 느껴졌던 것은 한국 사람의 집단적인 의식과 술 문화였다. 한국인들은 홀로 조용히 지내는 것보다 다른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내가 처음에 와서 보기에 한국에서는 집단적 의식과 사회만 존재하고 마치 개인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어떤 중요한 결정을 혼자 내리지 못하고 혼자 즐기지도 못하는 모습도 가끔 보게 된다. 그 가장 큰 예로, 한국 사람들은 대화 중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우리나라, 우리 동네, 우리 회사는 물론이고 심지어 우리 어머니, 우리 언니, 우리 아이라는 말까지 빈..

역사&문화/All over the World 2020. 1. 28. 01:17

130년 전의 옛날 이모티콘을 공개합니다

아래는 해외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오랜 옛날의 이모티콘입니다. 이 이모티콘은 1881년 3월 미국의 한 잡지에 소개된 바 있습니다. 지금부터 128년전이죠. 우리나라에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기도 전 일이라면 얼마나 오래됐는지 감이 좀 잡히시죠? 이 이모티콘들은 ‘가장 오래된 이모티콘’으로 알려져 있는데, 얼굴 이목구비 모양을 이용해 기쁨, 슬픔, 무관심, 놀람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잡지는 향후 사용할 이모티콘의 의미를 독자들에게 설명하는 식으로 이모티콘들을 소개했으며, 위키미디어가 관련 이미지를 스캔해 사이트에 올린 뒤에 해외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팝뉴스 등의 인터넷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된 바 있습니다. 옛날에도 문자만으로는 2% 부족했나 봅니다.

역사&문화/Meet with Cutlure 2020. 1. 28. 01:17

영화 '왕의 남자'가 성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관객 1000만 시대에 이르러 한국영화에 또 다른 신호탄이 터지고 말았다. 를 뒤엎는 역사적인 기록이 탄생 한 것이다. 1200만은 관객을 동원하며, 당당히 역대 흥행 기록 1위에 오른 영화는 바로 이준익 감독의 “왕의 남자”이다. 영화 “왕의 남자” 가 주목 받는 이유는 단지 뛰어난 흥행 성적 때문만은 아니다. 왕의남자는 기존이 기록을 새운 블록퍼스터 영화 의 제작비인 100억대의 제작비에 비해 40억대의 저예산이라면 저예산일 수 있는 제작비를 가지고 당당하게 1위 자리에 올랐다는 것이다. 지금부터 이러한 저예산의 제작비를 가지고 소이 “대박”을 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관객을 압박하는 빠른 스피드 대부분의 기존 사극영화에서 쓰여진 컷수는 900컷 정도로 한정되어있었다. 하지만 이준익 감독은 다..

역사&문화/Meet with Cutlure 2020. 1. 28. 01:1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8
다음
TISTORY
뉴스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