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상에 단 한권뿐인 책을 만든다

역사&문화/Meet with Cutlure

by 편집국장 2018. 10. 2. 13:18

본문

 -파주출판문화도시 활판공방


[출판 공방에서 인쇄된 한 시집. 신달자 시인의 <바람 멈추다>는 시집이다. 이 시집의 표지, 케이스, 이 책 머리에 들어 있는 자신의 사인, 책 끝에 있는 인지 ]

 세상에 딱 500권만이 출판된 시집을 내가 하나 가지게 된다면?  그리고 저자의 사인이 직접 들어가 있는 책을 내가 하나 가지게 된다면? 뿐만아니라 대량으로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조판공의 손으로 하나 하나 제자, 선자, 식자되어 수공으로 만들어진 그런 책을 내가 하나 가지게 된다면?


이렇게 만들어지는 책들이 실제로 있다. 바로 파주출판단지 안에 있는 활판공방이 바로 그곳이다.  이 곳에서 출판되는 책들은 모두 이렇게 수공의 공정을 통하여 개별 책마다 저자의 사인이 들어가고  편집과 장정이 된다.

 특히 이 책들은 모두 한지로 인쇄가 된다고 한다. 이 한지는 천년이 간다고 하니 다른 종이가 수십년 지나면 퍼석퍼석해지고 종이가 노란 색깔로 변하는 것과는 대조가 된다. 닥나무를 가지고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을 기울여 만들어지는 한지가 공장에서 대량으로 인쇄되는 종이와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책은 저마다 고유한 번호를 달고 나온다. 인지가 붙는 것이다. 거기에는 저자의 인장이 찍힌다. 이 인장이 없이 유통나면 큰 일이 난다. 사실 과거에는 모두 이렇게 인지제도가 있었다. 저자는 가끔 서점에 나가 자신의 책에 인지가 붙었는지 확인도 할 수 있었다. 출판된 부수가 인지대, 즉 저자의 수입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인지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사라진 지금, 책 뒤에 붙은 붉은 인장이나 낙관이 콱 찍힌 인지를 보는 것은 참으로 새삼스럽고 신기한 일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나오는 것이니  당연히 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 이곳에서 출판하는 대부분의 책은 시집 종류라고 한다. 이 시집 한권이 5만원 정도라고 하니 일반 시중의 가격보다는 몇 배가 비싸다. 그러나 충분히 이 값을 치르고도 사볼 만하지 않겠는가. 사실 이런 정도라면 가보로라도 소장할 가치가 있다. 좋은 사회는 일반 시민 누구나 사 볼 수 있는 대중적 문화와 더불어 조금은 사치스럽더라도 고급스런 문화도 함께 숨쉬는 곳이다.

 독일의 구텐베르크는 동양의 인쇄술을 가져가 대중적으로 활판인쇄를 통하여 성경을 대중적으로 찍어내는데 성공함으로써 근대 인쇄술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런 대중적 인쇄를 통하여 서양의 계몽시대를 여는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다. 이런 인쇄의 대중화와 더불어 온 인류가 지식을 익히고 공유하는데 엄청난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그 이전 시대에 제한적인 지식인 사이에만 읽혔지만 당대의 지혜와 지식을 기록하고 인쇄한 금속활자나 목판인쇄본 전적들을 귀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현대에서는 다시 개성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자기만의 것, 아주 특별한 책들을 구하게 되는 경향도 생겼다. 사람들은 여전히 초판본, 명사들의 사인이 든 책들을 찾는다. 골동의 책들도 인기다. 이것은 대중화 시대에서도 특별함을 찾는 사람들의 심리가 여전히 남아있음을 증명한다.

 이곳은 이미 사라져 버린 활판 인쇄기로 이렇게 한권 한권 책을 찍어내는 곳이다. 이 공방을 만들기 위해 사라져버린, 사라지고 있는 활판 인쇄기를 구하러 전국을 다녔다고 한다.  사라지는 모든 것은 아름다운 법이다. 다시는 구할 수 없고 다시는 볼 수 없다면 그 자체로서도 귀한 것이 된다. 우리 주변에서 익숙한 것들이 너무 많이 사라지는 우리 시대에서 사라지는 것을 보존하고 남기는 것 자체가 위대한 행위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여기에서 일하는 분들은 과거 인쇄소에서 이렇게 인쇄업무에 종사했던 분들이라고 한다. 그러다보니 모두들 도수 높은 안경을 끼고 있는 연세 많은 할아버지들이 대부분이다. 이 활판공방의 편집주간이자 시인인 박건한씨는 이 할아버지들이 더 이상 일을 못하게 될 때를 벌써부터 걱정하고 있다. 요즘의 젊은이들이 맥도날드나 피자집, 아니면 주유소에  가서 알바를 하지 이런 곳에 와서 이 조심스럽고 월급 적은 곳에 와서 일하겠냐는 것이다.

 이 활판 공방 밖에는 별도로 보존되고 있는 한 인쇄기가 있다. 바로 육남 최남선이 우리나라 최초로 만들었다는 잡지 <소년>을 인쇄한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인쇄기만 따로 모아놓은 인쇄박물관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청주에 있는 고인쇄박물관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곳에 인쇄시설이 제대로 모여있지는 못하다. 그런 가운데 비록 그것이 우리의 목판, 금속활자 인쇄기는 아니라 할지라도 우리의 어려운 시대, 이 나라 지식인과 국민대중에게 지혜의 원천이 되었던 책들을 인쇄한 인쇄기들을 제대로 모은 박물관 하나가 있었으면 좋겠다. 박건한 편집주간이 지역을 돌아다니며 간신히 모아왔다는 이 몇개의 인쇄기 외에 좀 제대로 모은 인쇄기와 인쇄시설, 등 인쇄문화를 보여주는 그런 박물관 말이다.

(원순닷컴)

기록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국가기록원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